더 로드

감상문 2009. 2. 1. 20:29


코맥 매카시의 2006년작 더 로드(The Road)

올해들어 처음 읽은 책이다.
점심시간에 코엑스 반디앤루니스에 들러서 종종 만지작 거리다 만 책인데 뜻하지 않게 설연휴 기차역에서 사들고 하루만에 읽어 버렸다.

'성서에 비견되었던 소설'이라는 표지의 홍보문구, 그리고 암울한 스토리라는 것만 보고 스릴러나 그와 비슷한 류의 소설일 것이려니 생각했었다.  특히 2003년에 나왔던 프랑스 영화 '더 로드'도 기억 속에 강하게 자리잡고 있어서 더 그랬던 것 같다.  (물론 영화와 이 소설은 아무 관계가 없다)

그런데...  스릴러도, 추리, 공포소설도 아니다.
어떤 이유로 문명이 파괴되고 폐허가 되어버린 지구 어느 지역에서의 아버지와 아들의 이야기.  소설 전체는 하나의 플롯으로 진행이 되고 아버지와 아들 외 특별한 등장인물이랄 것도 없다.  게다가 소설이 끝날 때까지도 아버지와 아들의 이름조차 나오질 않는다.  그냥 사내, 그리고 소년이라고 칭해지는 그들이 전부다.  그렇기에 지구 상에 존재하는 아버지와 아들이라면 그 누구라도 이들이 될 수 있다.

썩 호감이 가지 않는 책표지 디자인과는 달리  한 번 손에 잡으니 책을 놓지 못할만큼 흡입력이 대단하다.  근래 읽었던 책, 소설 중에서 가장 몰두하면서 읽었던 것 같고 간만에 책읽기의 재미를 느끼게 해 준 작품이었다.

인간사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관계이자 본능.  부모와 자식,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관계 속에서 황량하기 그지 없는 세상에 자식을 남겨두고 언젠가는 떠날 수 밖에 없는 모든 부모, 아버지들에 관한 이야기랄까...  자신 역시 그렇게 강하지 못하지만 본능적으로 아들을 지켜주고 책임져줘야 하는 아버지, 그리고 그 돌봄의 과정 속에서 하나 둘 씩 자식의 홀로서기를 가르치고 일깨워주는 그것.  때로는 그 자식은 아버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원망하기도 하지만 그 자체가 어찌보면 어린 자식과 커버린 아버지라는 존재가 상호 가지게 되는 숙제이자 밟아 나가야하는 전철이라는 것.

물론 이야기의 맨 처음과 그 뒤가 생략된 것 같은 아쉬움, 잘 읽혀 내려감과는 다른 무미건조함, 어찌보면 많은 부분을 책을 읽는 이들의 상상과 느낌에 맡겨두고 있기도 하지만 1만원이 조금 넘는 책값과 읽어가는 시간의 투자라는 관점에서 보면 내용 그대로를 받아들여가면서 마지막 페이지를 덮었을 때 가슴에 남겨지는 그것만으로 이 책의 가치는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아버지, 그리고 자식.  서로를 바라보고 이 세상에서 주어진 시간 동안 함께 해나갈 수 있는 것들, 특히 자식의 위치에 있던 내가 언젠가 되어야 할 아버지라는 모습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 보고 지금 세상에 공존하고 있는 아버지라는 존재에 대해 그 어떤 뭉클함을 느낄 수 있는 계기가 주어질 것이다.  그것만으로도 이 책의 묘미는 충분한 것이다.      
 

*단, 책 표지의 '320페이지의 절망, 단 한 줄의 가장 아름다운 희망'이라는 문구에는 개인적으로 동의할 수 없다.  (미국 현지에서는 성서에 비견된다는 문구도 있는데 성서를 읽어보지 않아서 뭐라 말할 순 없다)  어디까지나 이 문구는 홍보성 멘트로 보고 넘기는게 좋을 것 같다.

AND


회사 업무 차 중국 상하이를 두 번째로 방문했다.
첫 번째는 2008년 추석 때 갔었는데 그것도 추석연휴에 맞춰 대만 타이페이에 놀러 갔다가 회사일로 추석 당일 인천공항에 들어와서 바로 상하이로 갔었다.  그 때는 이래저래 정신이 없어서 그냥 본래 목적에 걸맞게 볼일만 열심히(?) 보고 돌아왔다.

상하이만을 보고 중국 전체를 평할 순 없겠지만 두 번의 방문에서 느낀 점은 확실히 대국임에는 틀림없다는 것과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나라라는 것이다.  사실 작년 여름 미국에 갔을 때 느꼈던 정갈하고 완성된 대국의 느낌과는 또다른, 넓은 땅덩어리 그리고 아직 완료되지 않은 성장과 발전의 기회와 가능성, 그 분주함과 투박스러움이 부럽게 느껴졌으니 말이다.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 푸동의 호텔방에서 바라본 바깥 전경.
강 건너 즐비한 타워크레인이 한창 발전 중인 중국을 상징하는 듯하다.


난징루의 밤거리...

정말이지 멋진 거리다.  넓직하니 펼쳐진 그 화려한 야경하며...

처음 갔을 때 제대로 보질 못했던 와이탄.  여기도 야경 하나는 끝내주는 상하이의 명소란다.

동방명주. 방송탑이라는데 개인적으로는 좀 유치해 보이는 외관...

서울도 한강변에 이런 멋들어진 마천루들을 좀 세웠음 좋겠다.

개인적으로 상하이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곳. 신천지.

상하이에서 외국인 대상의 관광명소로 작정하고 만든 곳이라고 하는데...
그래서인지 외국인들이 무지 많다.  건물외관 하며, 노천카페 등등 분위기가 중국이 아닌
서양 어느 도시의 길거리에 온 듯하다.


기념품 파는 곳인데 시에서 관리한단다.  가격도 정찰제고 가까이서는 사진도 못 찍게 했다. 
가격이 제법 비쌌던 것으로 기억한다.

배가 고파 들렀던 신천지의 어느 카페.  버거, 새우튀김, 케익, 샐러드, 맥주 등 배불리 먹었다.
가게가 반으로 나뉘어져 이 쪽은 레스토랑이고 옆 쪽은 바 형태로 되어있는데
마침 무대에서 밴드가 아바의 댄싱퀸을
부르고 있었던지라 분위기 완전 멋졌다.
맥주 들고 서서 박수치고 노래 따라 부르고...  손님의 90%가 서양인이었다. 


식당이름이 CHAMATE 였나?  뭔진 모르지만 두부가 중심이 된 음식인데 보기보다 맛은 괜찮았다.

내가 시킨 해물탕(?).  탕을 담은 냄비 안쪽에는 알콜램프 같이 작은 램프에서
불을 지피고 있다.  즉, 탕을 담은 냄비는
그 깊이가 매우 얕았고 따라서 양이 적었다... --;
그리고 밥 옆에 있는 갈색의 음식은 다진고기가 들어간 소스인데 밥에 비벼

먹으니 진짜 맛있었다.

군만두도 시켜봤다.  속이 꽉 찬 것이 역시 맛있었다.

푸동의 회사사무실에서 내려다본 전경.

인정하긴 싫지만 아무리봐도 서울보다 더 화려하고 멋진 건물들로 가득찬 도시인 것 같다.

길거리의 차나 택시들은 낡은 것들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특히 택시.  --;

푸동공항에서 비행기 타기 전에 함 찍에 봤다. 저 비행기를 탄 건 아니다.  --;

공항이 제법 컸다.  감도는 약했지만 무선인터넷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었다.

천장의 저 봉(?)들은 왜 꼽아 놓은건지?

 
AND

파이어폭스3

감상문 2009. 2. 1. 00:47

그간 IE에 너무나 익숙해져 있다보니 파이어폭스, 크롬 등 새로운 브라우저가 언급이 되어도 큰 관심이 없었다.
그런데 미국인 직원과 같이 일하게 되면서 그 친구가 파이어폭스를 쓰는 것을 봤고 매우 날렵해 보이길래 반 충동적으로 설치를 해보았다. 

음...  일단 몇 시간 동안 써보면서 이것저것 만져본 결과이긴 하지만...  딱 두 가지 빼고 다 맘에 든다.

우선, 익히 듣던대로 일부 웹사이트 내용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  그래서 IE TAB을 설치했고 이 문제는 나름 해결되어 가는 것 같다.  어쨌든 한국의 웹사이트들이 워낙에 ActiveX, 이미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보니 파이어폭스만으로 아무런 지장없이 인터넷을 즐기는 미국인 친구가 IE 천국인 우리 회사PC들에 대해 조금은 의아해 할 만도 하겠다.

그리고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나름 계속 눈에 거슬리는...  커서.  왼쪽에 위치하는 커서가 매우 어색하다.  방법은 익숙해지는 수 밖에 없다는데 파이어폭스의 다른 장점들이 이 정도 어색함은 감내할 수 있게 해 줄 것 같기도 하다.


그 반면에 파이어폭스의 좋은 점.  우선 속도.  이것이야말로 파이어폭스가 IE와 확실히 구분되는 장점이다.  이때까지 매우 무거운 웹브라우저를 쓰고 있었다는 걸 확실히 느낄 수 있었다.  대체 IE에는 뭐가 들어있길래?
그리고 마우스 드래그가 방지된 웹사이트 컨텐츠를 copy할 수 있다는 점. 또 웹사이트 이미지를 드래그앤드롭으로 PC로 저장할 수 있는 것.  파일 다운로드 인터페이스가 매우 편리하고 탭 기능을 자연스럽게 쓸 수 있는 점도 좋다.  무엇보다도 테마, 메일 알림 등 다양한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지원되고 손쉽게 추가할 수 있다는 점도 마음에 든다. 

업무특성 상 웹서핑을 자주 해야하는데 앞으로는 파이어폭스를 기본 브라우저로 설정해 두고 필요할 때 IE를 꺼내 써야겠다.  이 때까지 막연히 인터넷 라인상태가 안좋아 브라우저 속도가 느린 줄로만 생각했었는데 알고보니 문제는 딴데 있었던 게다.  어쨌든 IE 기반의 웹사이트가 많은 우리네 특성 상 짧은 시간 내에 그같은 웹사이트 제작환경이 바뀌는 것까지 바랄 순 없겠지만은 파이어폭스 같은 괜찮은 프로그램이 더 많이 알려지고 사용되어졌으면 한다.  그렇게 되면 mozilla에서 이 거슬리는 왼쪽 커서도 수정 해주지 않을까?      

AND

하트모양상자

감상문 2008. 1. 5. 01:58

조 힐의 하트모양상자...
간만에 서점에 나가서 골라낸 소설.  그러고보니 2008년 처음 완독한 책이다.
주로 인터넷 검색을 통해 검증된 베스트셀러를 골라왔으나 이번에는 어떤 사전정보도 없이 왠지 끌려서 고른 책이다.

50대 록스타가 유령이 깃든 양복이 든 하트모양상자를 이베이에서 구입하면서 벌어지는 귀신과의 대결(?)을 다룬 내용인데, 초자연에 기반한 호러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다.
4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을 이틀만에 독파한걸 보면 나름대로 흡입력은 강한 듯하다.  단, 초반의 스피디한 전개와 달리 중/후반부로 갈수록 그 긴장감이 줄어드는 것과 제법 놀라운 반전이 있긴하나 알고보면 너무 억지스러운 내용전개가 아쉽기도 해 보인다.  그러나 어쨌든 세련된 문장력과 읽는 내내 느껴지는 비주얼, 몰입하게 만드는 이야기 자체는 정말이지 근래들어 읽은 소설 중 최고라고 말할 수 있겠다.

워너브라더스에서 판권을 구입하여 영화화 하기로 했다는데 소설 자체가 매우 할리우드틱한지라 스크린에 그 세련된 필체를 잘 나타낼 수 있을지 사뭇 궁금해진다.  (주다스프리스트나 메탈리카 같은 메탈밴드의 리더싱어가 주인공역을 맡으면 참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AND

섬마을이야기

감상문 2007. 12. 14. 21:30

언젠가부터 흑석동 중대앞 버스종점 앞에 문을 열고 있는 (횟집인줄로만 알았던) 섬마을이야기에 처음으로 가봤다.
바깥에 활어회 7,900원, 소주 한 잔 400원...등으로 써붙여 놓아 당연 횟집인줄로만 알았었고, 개인적으로 회를 싫어하는지라 그닥 끌리지 않았었는데 알고보니 샐러드, 고기요리, 탕, 구이, 볶음 등 다양한 재료들과 요리를 갖춘 깔끔하고 괜찮은 곳이라는 생각이 든다.  밝고 편안한 인테리어, 개방형 주방도 맘에들고 직원들도 친절한데다, 무엇보다 음식의 맛이 참으로 좋았다.

두 명이서 간 자리인지라 많이 시키지는 않았지만 소주, 그리고 안주 한 두 개 시켜놓고 조촐하게 술잔을 기울이기에 맛깔스런 곳이라는 생각이 든다.  


<오늘 맛 본 음식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샐러드
기본으로 나온다.  독특한 야채들이 입맛을 돋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섬마을 모듬초회
새콤달콤한 소스와 소라, 새우, 오징어, 낙지, 그리고 이름모를 풀들...
상큼하면서 해산물들의 맛이 잘 살아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은고등어 스테이크
은고등어는 그냥 고등어와는 다른가보다.. (은고등어를 오늘 처음 들어봤다..)
살결과 맛도 부드럽고 소스도 짜지 않은 것이 은근히 입에 쫙 달라붙는 특유의 맛을 낸다.


AND


미국 시사주간지  TIME지가 뽑은 공포영화 베스트 25편 목록이다.
개인적 예상과 달리 새벽의 황당한 저주가 최고의 공포영화란다.  쩝... (나만 쩝~ 소리가 날라나?)

근데 1896년 영화에서부터 골라모은 것 같은데 절반 이상은 도무지 얼마나 무서운 영화인지 확인해 볼 길이 없다..  --;    게다가 에일리언, 플라이...가 공포영화 맞나??

개인적으로는 하우스오브왁스, 디센트, 쏘우, 미져리, 헬레이져, 이블데드, 더로드, 후라이드나이트 등등 추천!


1위 새벽의 황당한 저주(Shaun Of The Dead, 2004)
2위 레드드래곤(Red Dragon, 2002)
3위 오디션(Audition, 1999)
4위 데드얼라이브(Braindead Dead Alive, 1992)
5위 마루타 731 부대(Men Behind the Sun, 1988)
6위 플라이(The Fly, 1986)
7위 에일리언(Alien, 1979)
8위 할로윈(Halloween, 1978)
9위 캐리(Carrie, 1976)
10위 조스(Jaws, 1975)
11위 텍사스 전기톱 연쇄살인사건(The Texas Chain Saw Massacre, 1974)
12위 엑소시스트(The Exorcist, 1973)
13위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Night of the Living Dead, 1968)
14위 블러드 피스트(Blood Feast, 1963)
15위 블랙선데이(Black Sunday, 1960)
16위 싸이코(Psycho, 1960)
17위 저주의 카메라(Peeping Tom, 1960)
18위 우주의 침입자(Invasion of the Body Snatchers, 1956)
19위 디아볼릭(Diabolique, 1955)
20위 밤비(Bambi, 1942)
21위 프릭스(Freaks, 1932)
22위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1931)
23위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 1925)
24위 노스페라투(Nosferatu, 1922)
25위 열차의 도착(Arrival of a Train at La Ciotat, 1896)


AND


일단 양이 많아 보인다. (부피가 큰 건가..)   300g에 26,900원.

소고기 채끝 부위라고 해서 등심에서 이어지는 허리부위의 고기로 구운 스테이크인데 색깔이 흰 편이고
(그렇다보니 순간적으로 돼지고기 덩어리인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맛은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안심이나 등심보다는 좀 못했던 것 같다.  근육이 섞여있는, 조금은 질길수도 있는 쫄깃한 육질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괜찮을 수 있겠으나 연한 살코기를 좋아한다면 다른 메뉴를 추천하고 싶다.

그래도 일단 부피가 커서 배는 부르고, 감자튀김과 볶음밥으로 세팅한 사이드메뉴는 괜찮았다.
그러고보니 모두 다 기름진 것들이네... 쩝...
 
AND


미드에 푹 빠진 친구가 강추했던 코미디 드라마 어글리 베티를 이제서야 보고 있다.

어디선가 낯익은 내용인데.. 하다보니 패션계 이야기를 다룬다는 점에서 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의
그것과 비슷한 느낌을 가지게 한다.  (내용은 전혀 다르지만...)

아직 4회째를 보는 중이라 전반적인 감상은 힘들지만 참으로 따뜻하고 은근히 또 보고 싶게끔 만드는
드라마임에는 분명한 듯하다.  외모는 패션 잡지사와 너무나 안 어울리지만 일에 대한 열정과 따뜻한
마음가짐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베티를 보고 있노라면 내가 누리고 있는 일상이 어찌보면 너무나
소중한 그것이라는 생각이 들게 만든다.   내가 지금 머무른다고 생각하는 이 자리가, 그 어느 누군가는
너무나 갈망하는 자리일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

매회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는 베티를 보면서, 산 너머 산인 그녀의 일상을 엿보면서 조금은 지쳐가는
생활에 대한 반추와 기력을 얻어갈 수 있다면, 읽던 책은 잠시 접어두고서라도 한 회에 50여분의 시간을
들여 보는 것도 충분히 가치있는 일이 아닐까 한다.

시즌 1의 성공에 힘입어 지금 시즌2가 방송되고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아무튼 보는 이들에게 편안함과 웃음 그리고 생각할꺼리를 남겨주는 착한 드라마로서 어글리 베티의
매력은 그 빛을 더해나가는 듯하다.  
 
AND


iStation M43을 선물로 받았다. 
평소 갖고 싶었던, 그러나 실제 활용빈도에 대해서는 의심스러웠기에 구매를 망설여왔던
PMP였기에 '선물'이라는 명목으로 들어온 iStation은 너무 반가울 따름이다.

까만색의 30GB짜리 동영상/음악 플레이어+이미지뷰어+오피스문서뷰어 기능으로 단순화 한
M43 Academy 버전...
생각보다는 제법 무거운, (PMP를 처음 만져봤다...  다른 PMP도 비슷하거나 더 무겁다고 한다..)
생각보다는 디자인이 투박한, (뽀얀걸로 사달랄걸 그랬다...--;)
그러나 생각보다는 화질이 선명하고, PC에서 보면 화질이 좀 떨어지는 동영상도 잘 보이는데다
MP3 듣는 재미가 쏠쏠하기에 PMP로서의 역할에 충실한 놈임에는 틀림없는 듯하다.

그러다보니 PC가 아닌, 침대에 누워 동영상을 보기도 하고,
동영상을 PC가 아닌 iStation에 바로 다운받아 PC에 연결해 보기도 한다.
MP3 음질도 휴대폰의 그것돠는 비교가 안되게 좋다. (이전에는 휴대폰 1GB microSD카드에
MP3를 넣어서 듣곤 했다... 날이 갈수록 음질은 영 아니었다...)

DMB야 폰에서 지원되니 됐구, NAVI도 필요없기에 PMP 본연의, 조금은 투박할 수도 있는
기능만으로 만들어진 M43 Academy 버전은 여러모로 내게는 딱 맞는 물건이다.
(가격도 요즘 PMP들 중에서는 착한 편인 것으로 알고 있다.)

내일 저녁, 4시간 여의 여행을 해야하는데 이것저것 찾아서 저장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열심히 봐야쥐~ ㅋ
 
AND


간만에 재미있는(그리고 재미있을 것 같은) 미드를 찾았다.

2006년에 제작된 Nightmares and Dreamscapes,
많은 수의 미드들이 분량이 많은데다 한 번 보기 시작하면 중독되어 버리는 부담(?)이 있었는데
스티븐 킹 원작의 나이트메어 앤 드림스케이프는 50여분짜리, 8편으로 구성된 옴니버스 형태라
편한 마음으로 부담없이 볼 수 있어서 좋을 것 같다.

우리나라로 따지자면 4편으로 구성된 옴니버스 공포물 '어느날 갑자기'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는데
서양 공포물이라는 점의 밋밋한 한계를 넘어 8가지의 다양한 에피소드를 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스티븐 킹의 작품을 드라마화 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기대가 되는 작품이다.

1편을 봤는데 대사가 거의 없이 전개되는 독특함과 너무나 자연스러운 CG, 그리고 50여분 동안
끈을 놓지 않고 던져준 나름대로의 긴장감이 그 다음 편을 더욱 기대하게 만든다.
  
AND